퍼온글입니다... 예전에 다음게시판 세계IN에 있었던 글입니다.
====================
===================================
캐나다에서 간호사 되기!
의사, 약사, 간호사, 물리요법치료사, 치위생사 등 의료업종은 캐나다 국내에서 가장 각광받는 10대 유망직업군에 포함될 뿐 아니라, 이민자에게도 공평한 고용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최근 신규이민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러한 의료관련 직업들은 캐나다 인구 노령화로 해마다 수요가 증가하는 동시에 인력부족은 날로 심화되고 있어, 공식적인 자격조건을 갖추고 있다면 안정된 평균연봉과 질적인 고용환경을 누리는 전문직종 종사자로서 캐나다에서 새로운 삶을 구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의료분야 중, 특히 심각한 간호인력의 부족으로 캐나다는 특히 해외출신 간호사들에게 국내의 취업문을 개방해 부족한 인력현상을 보완해오고 있습니다. 2006년 통계에 따르면, B.C.주의 경우 약 54%에 달하는 타 주 혹은 해외에서 훈련 받은 간호사들이 의료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 이미 한국에서 전문과정을 이수하고 간호사로 일한 경력이 있다고 해도, 캐나다에서 간호사로 일하기 위해서는 다시 캐나다 간호사 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이렇듯, 한국에서 간호사로 일한 경력이 있거나, 혹은 캐나다에서 간호사 과정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알아두면 좋을 일반 정보 및 각 주별 시험 준비에 관한 정보들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캐나다 간호사 직종 세분화 | ||||||||||
| ||||||||||
| ||||||||||
|
※Alberta 주의 CRNE(정식간호사)시험에 대한 날짜와 장소 등 자세한 최신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알버타 간호협회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간호학diploma(three-year Diploma)학위 소지자 -> 4년제 간호학사 학위 이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3년제 간호학 Diploma 학위 소유자는 2010년 전에 알버타 주 간호협회에 등록해야 합니다. ( 학위 업그레이드 할 필요 없음) | |||||||||||||||||||||||||||||||||
| |||||||||||||||||||||||||||||||||
| |||||||||||||||||||||||||||||||||
| |||||||||||||||||||||||||||||||||
▶ Distance Advanced Nursing Specialty Certificate 프로그램이 있는 학교 | |||||||||||||||||||||||||||||||||
| |||||||||||||||||||||||||||||||||
|
▲ 준간호사(Licensed Practical Nurse: LPN)의 역할 : 맥박을 점검하는 등 신체 기능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Vital Check),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임상 병리용 자료 수집, 욕창(bedsores)치료, 관장(enemas), 환자들의 목욕, 식사 등을 도와 편안하게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업무를 맡게 된다. 간호전문과정(Practical Nursing)을 이수하고 필기시험을 통과해야 면허가 주어진다. 예를 들어 BC주에서는, 대표적인 과정으로는 밴쿠버 커뮤니티 컬리지(VCC)에서 제공하는 ‘Practical Nursing’12개월 과정이 있다. (http://www.vcc.ca/programs 참조) 이 과정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5주간의 3학기(Semester)로 나누어져 있으나 매 학기 이수에 필요한 성적을 얻지 못하면 다음학기 이수가 불가능하다. 매년 1월과 9월에 개강하며 현재는 지원자가 많아 2년 이상의 대기자가 몰려있는 상황이다. 기준 수업료는 C$3500, 교과서와 실습재료비로 약 C$1500의 비용 정도가 들지만, 매해 액수가 변동될 수 있으니 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해 자세한 사항들을 확인해야 한다. C$18 정도이며 졸업생의 97%가 취업한 VCC의 경우, 월 C$3350~3400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고령화 추세와 정부의 의료예산 확대 등으로 인해 취업 전망은 밝은 편이다. 또, 향후 10년 내 은퇴 연령에 도달하는 간호사가 많아 간호 인력의 수요가 크게 늘어 날 전망이다.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들 중 신청자에 한해 어느 정도 재정지원을 해주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간호사(RN)로 활동했으나 영어부족으로 책임감이 많은 간호사에 엄두를 못 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LPN이 하나의 선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재정지원을 받으며 이러한 재교육 프로그램(Practical Nurse refresher program)을 통해 RN보다는 덜 부담스러운 일부터 시작해 복직의 길을 열어 보는 것이 최선일 수 있다. 컬리지에서 2년제 diploma(two-year Diploma)과정 이수 증서가 있어야 한다. (이하 PRNE)에 통과해야 합니다. 이 시험은 퀘백을 제외한 캐나다 전 주(provinces)와 준주(territories)에서 시행됩니다. | ||||||||||||||||||
| ||||||||||||||||||
| ||||||||||||||||||
▷ 2007년 연도의 시험날짜와 마감일 (일년에 세 번, 캐나다 전 지역에서 시행됨) | ||||||||||||||||||
| ||||||||||||||||||
| ||||||||||||||||||
| ||||||||||||||||||
▷ 2008년 시험날짜 : | ||||||||||||||||||
| ||||||||||||||||||
▷ 준간호사 시험 등록비 | ||||||||||||||||||
| ||||||||||||||||||
| ||||||||||||||||||
등록비 $215와 신청서 Examination Application (E-1) Form을 지원 마감일 전에 캐나다 각 주의 간호협회에 보내 등록합니다. 우체국 소인날짜와 별개로, 지원 마감일 전에 도착한 서류만 접수하니 여유있게 시간을 두고 지원하셔야 합니다. | ||||||||||||||||||
| ||||||||||||||||||
◎ 시험증명카드(Examination Identification Card) 시험을 치러 가실 때는 반드시 사진첨부된 아이디와 이 시험증명카드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적절하다 판단된 모든 시험 응시자들은 BC주에서 준간호사로 일할 수 있도록 임시등록되어 임시면허가 주어집니다. 이 임시면허는 시험날짜를 기점으로 3개월동안 유효하되, 처음 시험을 보는 응시자들에게만 부여됩니다. 단 한번 발행되며 연장될 수는 없습니다. 만약 이 임시면허를 소지한 응시자가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거나 시험을 치지 않았을 경우, 임시면허는 무효화되고 CLPNBC에의 등록은 취소됩니다. 이에 해당하는 응시자는 즉시 본인의 등록상태를 고용주에게 알려주고 이 임시등록증을 CLPNBC에 반환해야 합니다. 발송되며, 전화로는 문의가 불가능합니다. 변경될 수 있으니 사전에 꼭 해당 주에 연락해 자세한 사항들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CPNRE Predictor Test(예상문제집)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www.asitest.ca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 ||||||||||||||||||
|
(한국에서 간호사가 아니었을 경우) | ||||||||||||||||||||||||||||||||||||||||||||||||||||||||||||||||
| ||||||||||||||||||||||||||||||||||||||||||||||||||||||||||||||||
한국에서 간호사과정을 이수하지 않고 정식간호사 자격을 따려면 간호학 학사학위 취득 후 국가시험에 통과해야 합니다. 간호학과 학생들은 의료팀의 일원으로서 일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강의실, 실험실 그 외 간호치료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시설에서 훈련을 받습니다. 각 대학의 간호학과 커리큘럼은 병원이나 사설 요양원, 가정 등 다양한 시설에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사항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처음 2년 동안에는 영어, 사회과학, 인문학, 자연과학 등 교양과목을 이수한 후 그 다음에 간호학을 배우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에서 얻은 지식들을 간호학에 접목시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아울러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치료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방법과 변화하는 건강에 대한 사항과 대처방법도 배우고 있습니다. 수업의 일환으로 간호사와 고객들과의 관계를 조사하며 의료 서비스의 관련된 단체를 연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죽음이나 심각한 병과 관련된 윤리적이며 실제적인 문제들에 관해서도 공부합니다. 병원이나 장기요양시설, 학교, 지역건강센터, 정신건강/심리연구소 그 외 다른 기관에서 임상실습을 갖게 되며, 일부 학교에서는 4학년 때 인턴쉽을 시행하는데 이때 실습을 통해 학점을 받고 현장경험도 얻게 됩니다. 여름방학 동안에 유급으로 일할 기회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 ||||||||||||||||||||||||||||||||||||||||||||||||||||||||||||||||
| ||||||||||||||||||||||||||||||||||||||||||||||||||||||||||||||||
간호학 과정이 우수한 각 주의 주요대학 | ||||||||||||||||||||||||||||||||||||||||||||||||||||||||||||||||
| ||||||||||||||||||||||||||||||||||||||||||||||||||||||||||||||||
| ||||||||||||||||||||||||||||||||||||||||||||||||||||||||||||||||
| ||||||||||||||||||||||||||||||||||||||||||||||||||||||||||||||||
| ||||||||||||||||||||||||||||||||||||||||||||||||||||||||||||||||
▶캐나다 RN 간호협회 | ||||||||||||||||||||||||||||||||||||||||||||||||||||||||||||||||
| ||||||||||||||||||||||||||||||||||||||||||||||||||||||||||||||||
| ||||||||||||||||||||||||||||||||||||||||||||||||||||||||||||||||
| ||||||||||||||||||||||||||||||||||||||||||||||||||||||||||||||||
◆ RCA Certificate 과정 또는 양로원에서 근무하게 되며 RN(간호사), RNE(준간호사)의 감독 아래 혈압, 맥박, 체온 등 기본적인 환자점검, 샘플채취, 자재관리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개인 간병, 아이들 보호, 공공기관 위생 청소 등의 일도 할 수 있다. 10여 가지의 다양한 세부직종으로 근무할 수 있다. 간호보건학과 & 간호조무사 양성과정이 잘 알려져 있다. 간호조무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전일제와 시간제 둘 중 하나로 수업 을 듣고 2주간 현장실습을 나가게 된다. 보통 8~10명이 인근의 Point Gray Hospital 등으로 현장실 습을 나가는데 이 중 성과가 좋은 사람들은 현장에서 취업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 간호조무사 과정을 듣기 위해서는 10학년 이상의 영어실력이 필요하다. 영어실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파트너쉽 을 맺은 학교와 연결해 ESL 1년 과정 (40주)을 거친 뒤 게이트웨이 칼리지에서 1년간(36주) RCA과 정을 공부하는 2년제 과정을 택할 수도 있다. 컬리지 내에서 ESL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른 학교에 서 ESL을 이수한 것은 인정받을 수 있다. RCA 본격과정. 보통 ESL 을 끝낸 학생이나 의료계 경력이 있지만 캐나다 현지 의료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RCA에 대한 본격적인 학습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 과정을 끝내면 이후 20주 단위 전일제 과정 또 는 26주 단위 시간제 과정을 통해 간호조무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어느 과정을 택 할지는 본인의 선택이며, 이민자나 유학생뿐만 아니라 캐나다 현지인들도 함께 수강한다. | ||||||||||||||||||||||||||||||||||||||||||||||||||||||||||||||||
| ||||||||||||||||||||||||||||||||||||||||||||||||||||||||||||||||
| ||||||||||||||||||||||||||||||||||||||||||||||||||||||||||||||||
| ||||||||||||||||||||||||||||||||||||||||||||||||||||||||||||||||
학교측에 따르면, 간호조무사 과정 학생들의 연령대는 30, 40대가 주류이고 50대도 간혹 있다고 한다.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취업률은 97%이며, 이러한 RCA로 500시간 정도 경력을 쌓은 후 현장경력을 인정받아 보조간호사(LPN)과정을 이수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때 RCA로 근무하면 LPN과정 수료기간이 일부 줄어들 수 있다. RCA인력을 늘리기 위해 BC주정부의 학자금 융자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들은 학교나 정부측과 직접 연락해 정보를 얻어야 한다. |
'북미 간호사 정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알버타주 간호사(LPN) 학교들 모음 (0) | 2009.04.02 |
---|---|
캐나다 간호사(LPN) 평균 연봉. (0) | 2009.03.27 |
(펌글) 캐나다 간호사로 이민하시려는 분들이 읽어 봐야 할 글. (0) | 2009.03.22 |
(펌글) 알버타주 준간호사(LPN) 관련 싸이트 (0) | 2009.03.12 |
(펌글) 캐나다 간호사 되기 세미나(밴쿠버가 위치해 있는 BC주) (0) | 2009.03.05 |